사회

사회
인쇄
이전 목록 다음

한국언론재단 교육프로그램 지상중계

작성자 : 광주전남기자협회 (115.23.95.***)

조회 : 3,794 / 등록일 : 13-03-19 16:21

   한국언론재단 교육프로그램 지상중계

 새로운 기사 쓰기를 위해

 안수찬 한겨레 사회부 24시팀장

 



근대 신문이 처음 등장했을 때저널리즘의 지배적 장르는 논설과 칼럼이었다생각과 주장을 밝혀 적는 게 당시 기자의 임무였다지식인들이 주로 기자 노릇을 했다그런데 논설과 칼럼에는 한계가 있었다식견을 갖추지 못한 독자는 그 내용을 이해하지 못했다논설과 칼럼은 지식인을 위한 글쓰기였고기자는 지식층을 주로 상대했다.



20세기 중반 등장한 스트레이트라는 기사 장르가 이를 뒤집었다글자만 읽을 수 있다면사전 지식이 없더라도 충분히 사건의 핵심을 이해하도록 돕겠다는 게 스트레이트의 '장르적 전략'이었다오늘날한국의 신문과 방송이 생산하는 기사의 95% 이상은 스트레이트 기사다언론사에 입사해서 처음 배우는 (그리고 유일하게 배우는글쓰기도 스트레이트 기사다.



몇몇 기사 장르 가운데 유독 스트레이트가 오늘날의 기자들을 지배하게 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스트레이트는 본질적으로 '선동적'이다복잡한 사안의 핵심을 가장 쉬운 언어로 정돈해 압축적으로 전달하면서사태가 이런데도 가만 있을 거냐고 세상 다수를 향해 묻는 글이다스트레이트에 이르러 비로소 기자는 소수 지식인이 아니라 '독자대중'과 직접 만나게 됐다.



그런데 스트레이트에도 한계가 생겼다핵심과 본질을 한 호흡에 드러내려고 추상적경직적형식적 정교화를 거듭한 나머지 스트레이트 기사 자체가 읽기 어렵고 따분한 글이 돼 버렸다스트레이트 기사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말글의 어휘문장구성과 많이 다르다. "기사를 읽어도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는 반응이 여기에서 비롯했다.



원래는 논설이나 칼럼의 엘리트주의를 극복하고 평범한 사람들의 언어로 사실을 전달하려 했지만이제는 평범한 사람들이 스트레이트를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그 결과 스트레이트는 판사의 판결문교수의 논문처럼 특정 직업 세계 안에서만 통용된다쉽게 말해, (애초 취지와는 달리독자는 이해 못하고 기자들끼리만 생산하고 소비하고 품평하는 글쓰기 장르가 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 언론에선 1990년대부터 '내러티브 기사'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이미 영미 언론의 각종 탐사기획보도는 거의 전부가 '내러티브 라이팅방식으로 쓰여지고 있다그것은 스트레이트를 대체하진 못했지만스트레이트를 보완하고 극복하는 새로운 기사 장르다.



내러티브 기사는 인물 중심으로 사건의 전모를 드러낸다. '내러티브'의 어원 자체가 '모든 것을 이야기하다'는 뜻을 갖고 있다내러티브는 사건이 아니라 인물을 중심으로 세계를 설명하고이를 기승전결 구조를 통해 풍부하고 깊게 드러내는 전략을 택한다그것은 한편의 소설 또는 영화를 연상시킨다.



내러티브 기사는 진실의 전모를 확인하려는 독자 요구에 부응한다진짜 진실이 무엇인지 알기 힘들다는 독자들에게 사건의 발생과 전개를 모두 밝혀 줄 수 있다재미를 추구하는 대중의 취향에도 부응한다기사는 딱딱하고 무미건조하다는 편견을 깨고 흥미진진한 방식으로 세계를 드러낸다말초신경을 자극하는 소재를 다뤄서가 아니라실제 인물과 사건을 역동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통해 독자들의 몰입을 이끌어낸다.



스트레이트 기사는 모든 사실을 사건 구조로 바라본다반면 내러티브 기사는 모든 사실을 인물 구조로 바라본다세계는 사건이 아니라 인물의 총체이며인물을 통해 사건을 더욱 잘 설명할 수 있다는 믿음이 내러티브 기사의 바탕에 있다.



스트레이트 기사에서 사건은 '어느날 갑자기일어난 것처럼 불쑥 등장한다모든 것이 평화롭고 정상적이었는데 문제적 인물이 어느 날 갑자기 살인을 저질렀다는 식이다반면 내러티브에서 사건은 '(갑작스런발생'이 아니라 '(갈등적 인물과 함께성장하고 진화'한다사건의 탄생전개절정해소(또는 파국)에 이르는 과정 전부를 드러낸다.



스트레이트 기사는 사실에 대해 독자들이 거리를 두게 해 실체를 파악하도록 한다상반된 입장의 두 사람을 등장시키고누가 진실을 말하는지 확정할 수 없으니 일단은 거리를 두고 두 사람의 진술을 모두 들어보자는 태도를 취한다반면 내러티브 기사는 독자 스스로 여러 당사자의 입장에 서서 사건을 체험하도록 한다진실이 무엇인지 확정할 수 없다는 태도는 비슷하지만, '거리두기전략의 스트레이트와 달리 '체험하기전략을 제공한다.



스트레이트와 내러티브를 비교하는 것은 어느 것이 옳고 그른 것의 문제로 귀결되지 않는다각각의 바탕에는 객관주의 저널리즘과 뉴 저널리즘이라는 거대한 관점의 차이도 있다이를 논구하는 것은 언론학자들의 몫이다.



기자라면 도대체 내러티브가 무엇인지부터 들여다볼 궁리를 하는 게 좋다하버드대학 니먼재단의 '내러티브 아카이브'라는 곳에 가면 그 빛나는 기사들을 볼 수 있다웹 주소로 이 글의 끝을 대신한다




http://www.niemanstoryboard.org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목록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 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 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SITE MAP

팀뷰어 설치파일 다운받기